아르바이트, 인턴, 사회초년생 등 저소득 청년들에게 추가적인 적금 이자와 이자에 대한 비과세를 지원해줌으로써, 청년들이 자산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2022년 청년희망적금" 제도입니다. 2022년 청년희망적금은 시중 이자 플러스 저축장려금 이자를 추가로 받을 수 있어 자산을 마련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할 수 있습니다. 청년들 기회 놓치지 마시고 얼른 신청하러 가봅시다.
2022년 청년희망적금 신청 조건
우리는 신청하기에 앞서 자격 조건을 항상 봐야 됩니다. 2022년 청년희망적금을 지원할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조건 | 내용 |
나이 | 만 19세부터 34세 |
소득 | 직전과세(1월~12월) 기간 총 급여액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금액 2,600만원 이하) |
일단 청년들을 위한 적금이다 보니 나이가 제한적입니다.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인데, 군대를 제대하고 온 사람이라면 병역이행기간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그리고 병역이행기간은 최대 6년입니다. 즉, 86년생은 만 36살이지만, 병역이행기간 2년으로 군대를 제대했다면 86년생도 연령 요건에 충족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저소득층을 위한 제도이기 때문에 소득이 제한됩니다.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 총급여액이 3,600만 원 이하(종합소득 금액이 2,600만 원 이하)인 사람만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금액이란 근로소득, 이자소득, 임대소득, 사업소득, 배당소득 등 경상소득(비과세소득 포함) 말하며, 퇴직소득 등 일시적인 소득은 제외됩니다. 즉 총급여액에서 땔 거 다 때고 2,600만 원 이하가 되어야 됩니다.
여기서 직전 3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합)이 2,0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대상에서 제외되오니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2022년 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
청년희망적금은 11개의 은행에서 시행을 하고 있습니다.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경남은행, SC제일은행 중 하나를 선택하여 대면 또는 비대면으로 계좌를 개설하시면 됩니다. 1개 계좌만 개설할 수 있으며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 표는 2년 만기가 됐을 경우 예상되는 금리이니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국민 | 농협 | 신한 | 기업 | 하나 | 우리 |
6% | 6% | 6% | 5.9% | 5.7% | 5.7% |
2022년 청년희망적금 내용
2022년 청년희망 적금은 만기 2년이고, 최대 5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적금을 넣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적금에 대해서 시중 이자가 계산되고, 추가로 저축장려금과 비과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저축장려금은 1년 차에는 2%로 적용, 2년 차에는 4% 를 적용하여 지원합니다. 즉, 매월 50만 원씩 납입을 했을 경우 2년간 저축장려금은 최대 36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자 소득에 대한 이자소득세(14%)와 지방소득세(1.4%)를 납부하지 않아도 되므로 38,500원을 더 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2022년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현 제도 또한 나라의 예산으로 진행을 하다 보니 예산이 소진시 가입을 할 수 없으니 최대한 빠르게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나는 과거를 생각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끝없는 현재뿐입니다.
'일상 > 500만원_유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서울 뷰티 먼스 (2022 SEOUL BEAUTY MONTH FESTIVAL) (2) | 2022.09.29 |
---|---|
체크카드 추천 - 토스뱅크 파킹통장(돈이 돈을 번다) (3) | 2022.08.25 |
#DIV/0! 값 표시안나게 하는 방법 (0) | 2022.07.07 |
카카오톡 업데이트 하는 방법 (인앱결제 말고 아웃링크로 하자) (0) | 2022.07.07 |
2022년 육아휴직제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7.06 |
댓글